안녕하세요 :)
천문학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천문학이라고 하면 너무 어려운 단어로 들리지만, 사실 생각해보면 누구나 어릴 적 하늘을 올려다보며 반짝이는 별들 속에서 자신의 별자리를 찾거나, 떨어지는 별똥별을 바라보며 소원을 빌고, 아직도 영화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많은 설정중에 하늘에서 내려온 외계인이 지구를 침략하거나, 하늘에서 떨어진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여 지구가 멸망하는 내용의 영화들이 아직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걸 보면 사실 천문학이라는 건 우리의 일상과 생각보다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게 아닐까요?
인류는 오랫동안 하늘을 올려다보며 그 하늘의 움직임과 우주에 의미와 질서를 부여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밤하늘에 각인된 여러모양의 별자리를 보면 가장 쉽게 움직임을 따라갈 수 있지만,
또 일식과 행성의 움직임과 같은 다른 천체의 이동 역시 기록하고 예측되고 있습니다.
천문학의 정의
천문학이란 태양, 달, 별, 행성, 혜성, 가스, 은하 그리고 다른 지구가 아닌 다른 곳에서의 우주적 현상에 대한 학문입니다.
NASA는 천문학을 단순하게 '별, 행성 그리고 우주에 대한 연구'로 정의합니다.
천문학과 점성술은 역사적으로 관련되어 있지만 점성술은 과학이 아니며 더 이상 천문학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인식됩니다.
이후에 다시 천문학의 역사와 우주론을 포함한 관련 분야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사적으로 천문학은 천제의 관측에 초점이 맞춰줘왔습니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천체물리학과 아주 가깝다고 여겨지는데, 천체물리학은 천문학의 물리적 연구를 포함하고 우주에 있는 연구대상의 행동, 성질과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천문학에서는 이러한 대상의 움직임과 특징의 많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두 용어가 서로 교환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현대의 천문학자들은 이론과 관찰의 두 가지 분야로 나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측적 천문학자 - 별, 행성, 은하계 등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
이론적 천문학자 - 우주의 시스템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 조사하고 모델을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대부분의 다른 과학 분야와는 다르게 천문학자들은 우주의 탄생부터 죽음까지, 시작과 끝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직접 관찰할 수 없습니다.
이 세계와 별, 은하의 수명은 수백만 년에서 수십억 년에 이릅니다. 그 대신, 천문학자들은 그들이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하고, 죽었는지 결정하기 위해 진화의 다양한 단계에서 신체의 스냅사진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직접 관찰이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론적 천문학 및 관측적 천문학은 이론적 과학자들이 실제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물레이션을 만들고, 관측적 과학자들이 그 시물레이션 모형의 확인하거나 수정해야 할 부분을 확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고 힘을 합쳐 연구를 진행하게 됩니다.
천문학은 여러 가지 하위 분야로 나누어지는데 이로 인해 과학자들이 특정한 물체와 현상을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게 도와줍니다.
다음 편에서 천문학 아래에 나눠지는 하위 분야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이 어두운 밤 우리를 찾아오는 손님 제미니드 유성 (0) | 2020.12.08 |
---|---|
우주에서 가장 어린 행성의 성운 별의 재탄생 (0) | 2020.12.08 |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의 성운들 중 가장 어린 성운은? (0) | 2020.12.07 |
천문학자들이 새롭게 발표한 우리 은하계에 대한 조사 (0) | 2020.12.07 |
천문학이란 무엇인가? 두번째 이야기 천문학의 하위 분야 (0) | 2020.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