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와이즈(Neowise) 혜성이 하늘에서 떠난 이후, 혜성들이 점점 그 모습을 드러내는 일이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하늘에서 혜성을 찾는 일이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해질 무렵부터 새벽 해가 뜨기 전까지 네 개의 새로운 혜성이 우리를 반겨줄 것입니다.
여름에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해줬던 네오와이즈 혜성, 하지만 여름의 그 환상적인 쇼가 끝난 이후 하늘은 이제껏 쉽게 관측할 수 있었던 이 혜성들의 자취를 감춰버렸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주 동안 완전히 새로운 스타들이 밤하늘을 다시 한번 활기차게 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현재 아마추어 망원경 범위 내에 4개의 혜성이 있습니다. 즉 저녁 하늘의 혜성 156P/Russell-LINAL과 혜성 ATLAS (C/2020 M3), Erasmus (C/2020 S3), 그리고 NEOWISE (C/20 P1)를 이른 아침에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밤하늘의 새로운 스타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4개의 혜성중 가장 밝은 혜성인 ATLAS부터 살펴보면 2020년 6월 27일 광도 19에서 소행성 지상파 충격 경보 시스템(ATLAS 검색 프로그램)에 의해 발견된 이 혜성은 광도 8.5로 현재 토끼자리에서 오리온자리로 속도를 올리며 북상하고 있습니다.
비록 혜성이 자정 무렵부터 솟아오르지만, 남쪽에서 절정을 이루는 새벽 4시쯤에 가장 관측이 잘 될것입니다. 관측자들에 의하면 이번 10월 16일 경 하늘에서 15인치의 천체 망원경을 통해 관측된 아틀라스 혜성은 그 얼마나 크고 보송보송한 것이 마치 솜사탕을 보는 것처럼 바로 확인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확대율을 245배까지 높이면 중심에 가까운 항성 핀포인트, 마치 진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가짜 핵이 드러났습니다. 혜성의 진짜 핵은 작고 스스로 만든 작은 먼지의 고치 안에 잘 숨겨져 있었습니다.
혜성의 전체적인 광도는 비교적 밝은 편이지만, 혜성의 분산된 모양과 큰 직경은 모두가 예상하는 것보다 더 혜성을 희미하게 보이게 합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그러하듯이 도시의 불빛에 의해 방해를 받을 때 그 경향은 더 도드라집니다. 그래도 최근 몇 번의 쌍안경 목격에서 선명한 광경을 목격한 사례도 발견되곤 합니다.
전문가들은 관찰하는 동안 가스가 풍부한 혜성에서 이원자 탄소의 녹색 빛이 통과하도록 설계된 스완 밴드 필터가 ATLAS의 대비와 가시성을 분명하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혜썽은 토끼자리에서 북쪽으로 오리온자리를 거쳐 마차부자리까지 꾸준히 올라가면서 12월 초까지 광도 8을 유지합니다. 최고의 관측 기회는 달이 돌아오기 전인 10월 29일까지이며 11월 7일부터 29일까지라고 여겨집니다.
근일점은 10월 25일 혜성 ATLAS가 태양으로부터 190만km를 지나게 되는 날 발생하며, 이어 11월 14일 5360만 km의 거리에서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게 됩니다. ATLAS는 10월 27일 토끼자리의 근처를, 11월 4일 리겔(오리온자리의 1 등성)을 지나가게 됩니다.
ATLAS를 성공적으로 관측한 후, 망원경을 살짝 동쪽으로 이동시켜 히드라자리를 찾아 보세요. 그러면 그다음 혜성인 Erasmus (C/2020 S3)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남아프리카 천문대의 천문학자 니콜라스 에라스무스는 올해 9월 20일 이 혜성을 광도 18.5에서 발견했습니다. Erasmus는 엄청난 속도로 빠르게 밝아졌고 현재 광도 11 정도의 빛으로 빛나고 있습니다. 11월 말까지 점점 떨어져 광도 7~8에 도달하는 이 혜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며 혜성의 빛은 밝기가 12월 13일 오전까지 계속 추락하게 될 것입니다.
지금은 아침 황혼이 시작되기 전까지 물뱀자리와 외뿔소자리에 잘 자리를 잡고 있지만, 그 길쭉한 모습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다음달 말쯤에는 Erasmus 혜성은 새벽이 시작될 무렵에는 남부 처녀자리에 주먹 높이에 겨우 있는 모습을 관측하는 것도 힘들 정도로 빠르게 그 모습을 감출 것입니다. 우리는 그 고도가 내려가는 동시에 그 빛이 밝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쇄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혜성이 태양빛의 눈부심 속에서 사라지기 전 12월 초까지 Erasmus 혜성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위성을 위협하는 먼 우주 속 먼지 잔해 (0) | 2020.12.13 |
---|---|
해가 뜨기 전까지 즐겨요 즐거운 혜성 관찰 (0) | 2020.12.12 |
LIGO 관측소를 통해 새로 발견된 블랙홀의 신비 (0) | 2020.12.11 |
중력파 카탈로그에 나타난 거대한 블랙홀들 (0) | 2020.12.11 |
아레시보 전망대의 전파 망원경 이야기 (0) | 202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