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밤 우리를 찾아오는 별똥별 샤워
제미니드 유성우
그 두 번째 이야기, 시작합니다.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제미니드는 하늘 전부를 뒤덮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나 유성유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밝게 빛나는 복사기 근처의 유성은 짧은 불꽃처럼 보이는 반면에, 하늘의 반대편에 있는 유성은 긴 꼬리를 만듭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 복사의 오른쪽에서 45도 정도 떨어져서 양쪽이 혼합된 것을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모든 제미니드 유성은 산발적으로 움직이는 임의의 유성과는 달리 다시 복사성을 가리킬 것입니다.
만약 13일의 일기예보가 흐릴 것으로 예상된다면, 전날 밤에 관측을 도전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만약 도시의 불빛이 약한 곳을 찾을 수 있다면 시간당 많게는 30개의 유성을 볼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둘 다 안된다면 다음날에 도전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유성의 수는 최대 15개 정도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11월의 사자자리의 유성군에 비하면 제미니드 유성들은 시간이 그렇게 길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은 초당 약 35km/s의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하고 종종 1~2초 정도 잔상이 남아있습니다. 또한 제미니드는 유성의 뒤를 살펴보면 열차의 뒷칸처럼 빛나는 꼬리가 따라올 때가 가끔 있습니다. 이는 이온화된 공기 분자의 빛나는 모습인데 이것은 평균 유성체의 몇 배의 해당하는 그들의 높은 밀도 때문일 수 있습니다.
뜨거운 먼지의 기원
대부분의 유성우는 혜성들이 태양열로 인해 파괴될 때 혜성에 의해 분출되는 약간은 푹신해 보이는 먼지투성이의 잔해에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대신 제미니드 유성우는 알려진 것보다 더욱더 태양에 가까이 붙어서 지나가는 폭 5km 정도의 소행성인 3200 파에톤(FAY-uh-thon)에서 불과 2,080만 km 떨어진 거리에서 진화했습니다. 그것의 표면온도는 대략 1300'F(약 700'C)에 달하며, 그것의 지각에 충격을 가하고 파열시킬 수 있을 만큼 높으며, 때때로는 꼬리를 선정하고 제미니드의 원료를 제공하는 파편들을 방출합니다.
우리는 예로부터 유성우를 매우 예전부터 있어온 현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페르세우스의 초창기 관찰은 AD 36일 중국의 기록에서 발견되는 반면, 리리드는 기원전 687년으로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미니드에 대한 기록이 최초로 확인된 것은 1862년에야 이루어졌습니다.
방송 기상학자 겸 Sky&Telescope 기고 편집자인 Joe Rao는 궤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유성우를 연구한 결과, 제미니드의 흐름의 주요 부분이 현재 지구 궤도 트랙 안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2080년 경에는 두 궤도가 거의 일치하게 되는데, 이것은 유성이 보이는 시기에서 유성의 개수를 시간당 200개 이상으로 거의 두배 가까이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파에톤의 잔해 확산에 따라, 제미니드 유성우는 그 후 갑자기 끝을 맞이하거나 천천히 줄어들어 23세기 후반에 이르러 없어지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당장 당신에게 일어나서 준비하고 유성우를 보러 떠나라고 억지로 떠밀고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천문학은 광대한 시간 동안 인류에게 우주의 신비를 노출시키고 있지만 유성우를 보고 있을 때, 별똥별이 떨어지는 것을 직접 보고 있을 때야 말로 천문학의 중요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극단의 긴장감은 일요일 밤에 당신의 등골을 오싹하게 만들지도 모릅니다! 맑은 하늘만 있다면 말이죠.
Tip
눈으로만 보기 아쉽다면? 직접 기억에 남을만한 사진을 찍어보세요!
만약 사진 또는 영상으로 유성우를 남기고 싶다면
1 완벽하게 충전된 DSLR 카메라와 배터리
2 와이드 렌즈(35,24,16mm) 그리고 렌즈와 셔터 속도, 노출이 조절 가능한 매뉴얼 모드(M모드)를 준비하세요
3 주변의 불빛이 보통이라면 ISO를 800으로 설정하고, 주변의 불빛이 거의 없는 곳이라면 1600으로 설정하세요. F/2.8이 가장 좋지만
여기까지 지원을 안 하는 카메라라면 3.5/4 정도로 개방하고 이경우에는 마찬가지 ISO를 800이 아닌 1600이나 2500 정도로 설정하세요.
4 카메라를 삼각대 위에 올려놓고 뷰파인더에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을 중심에 맞춰 Live View기능을 활성화합니다. 확대 버튼을 눌러
이미지를 5~10배까지 확대시킨 다음 조심스럽게 별의 초점을 맞춥니다. 아직 이른 시간에 구름이나 태양에 초점을 맞추기도 합니다.
5 프레임의 한쪽으로 빛이 없는 곳을 넣어서 찍어보세요. 주변의 나무 또는 건물을 넣어서 찍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6 30초간 노출시킵니다. 매우 힘든 작업일 테니 원격셔터를 구매하는 것도 좋습니다.
7 즐거운 마음으로 사진을 찍으세요. 가능한 많이!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손하지만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는 사자자리 유성우 (0) | 2020.12.10 |
---|---|
항상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는 사자자리 유성우 (0) | 2020.12.09 |
달이 어두운 밤 우리를 찾아오는 손님 제미니드 유성 (0) | 2020.12.08 |
우주에서 가장 어린 행성의 성운 별의 재탄생 (0) | 2020.12.08 |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의 성운들 중 가장 어린 성운은? (0) | 2020.12.07 |